안녕하세요, AI와 함께 코딩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개발자 여러분!
많은 분들이 Anthropic의 **Claude Code (claude CLI)**를 터미널에서 사용하며 그 강력한 코드 생성 능력에 감탄하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혹시 이런 생각해 보신 적 없으신가요? "Claude가 내 터미널을 벗어나 웹 검색도 하고, 다른 도구와 연동할 수 있다면 얼마나 더 강력해질까?"
오늘은 바로 그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숨겨진 기능, MCP(Multi-modal Command Processor) 서버 추가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여러분의 Claude Code를 단순한 AI 챗봇에서, 웹 브라우저와 다른 전문 도구까지 손발처럼 부리는 만능 개발 어시스턴트로 진화시킬 수 있습니다.
MCP란 무엇인가요? 왜 사용해야 할까요?
복잡한 이름은 잠시 잊으셔도 좋습니다. MCP는 간단히 말해, Claude의 능력을 확장해주는 '플러그인' 또는 '외부 도구 연결'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 기호를 통해 Claude에게 특정 작업을 지시할 때, MCP는 그 지시를 받아 미리 등록된 외부 프로그램이나 서버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Claude에게 전달해주는 '중간 다리' 역할을 합니다.
MCP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 컨텍스트 전환 최소화: "최신 React v19 기능이 뭐지?" 궁금할 때, 더 이상 브라우저를 켜고 구글을 검색할 필요가 없습니다. 터미널에서 바로 @brave-search 최신 React 19 기능 이라고 물어보면 Claude가 알아서 웹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답을 줍니다. 개발의 흐름이 끊기지 않는 것은 엄청난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 최신 정보 접근: Claude와 같은 LLM은 특정 시점까지의 데이터로 학습되었습니다. 하지만 MCP로 웹 검색 도구를 연결하면, 바로 어제 발표된 라이브러리나 지금 막 이슈가 된 버그에 대해서도 최신 정보를 반영하여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나만의 워크플로우 구축: 웹 검색뿐만 아니라, 내가 만든 스크립트나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는 도구를 MCP로 연결하여 "우리 회사 표준 API 명세 알려줘" 와 같은 개인화된 명령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왜 이 MCP를 추가해야하는가?
1. brave-search & perplexity-mcp
- 핵심 기능: 실시간 웹 검색 엔진입니다. Claude가 자신의 지식만으로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Brave 브라우저나 Perplexity AI의 검색 엔진을 통해 최신 웹 정보를 즉시 찾아보게 만듭니다.
- 사용하면 얻는 효과 (시나리오):
- 문제: "어제 릴리즈된 some-library 2.0 버전에서 발생한 breaking change 때문에 코드가 깨졌는데, 해결 방법을 모르겠어."
- 효과: MCP가 없다면 Claude는 이 최신 정보를 모릅니다. 하지만 @brave-search some-library v2.0 breaking change fix라고 물어보면, Claude가 지금 막 GitHub 이슈나 레딧에 올라온 해결책을 검색해서 "v2.0부터는 oldFunction()이 newFunction()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렇게 코드를 수정하세요."라고 정확히 알려줍니다. 최신 에러 해결에 들어가는 시간을 극적으로 단축시킵니다.
2. sequential-thinking & server-sequential-thinking
- 핵심 기능: **AI의 사고를 구조화하는 '생각 도구'**입니다. 복잡한 요청을 받았을 때, AI가 곧바로 코드를 뱉어내는 대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과 단계를 먼저 스스로 생각하고 정리하게 만듭니다. (server-는 더 크고 복잡한 작업을 위한 버전으로 보입니다.)
- 사용하면 얻는 효과 (시나리오):
- 문제: "회원가입, 로그인, 프로필 수정 기능이 있는 REST API를 Express로 만들어줘."
- 효과: MCP가 없다면 Claude는 수백 줄짜리 거대한 코드 덩어리를 한 번에 줄 수 있습니다. 이걸 분석하고 디버깅하는 건 온전히 개발자의 몫입니다. 하지만 @sequential-thinking을 사용하면, Claude는 먼저 스스로 계획을 짭니다.
- Okay, first I'll set up the basic Express server.
- Next, I'll define the User model using Prisma.
- Then, I'll implement the registration route with password hashing.
- After that, I'll create the login route with JWT token generation...
Claude가 논리적인 순서로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결과물의 품질이 훨씬 높아지고, 개발자는 AI의 작업 계획을 명확히 이해하며 따라갈 수 있습니다.
3. context7-mcp
- 핵심 기능: 프로젝트 전체 '컨텍스트(문맥)' 인식 도구입니다. 현재 열려있는 파일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구조, 다른 파일들과의 관계, 주요 의존성 등을 파악하는 능력을 부여합니다.
- 사용하면 얻는 효과 (시나리오):
- 문제: "우리 프로젝트에 새 기능을 추가해야 하는데, 기존 코드 스타일과 구조를 깨뜨릴까 봐 걱정돼."
- 효과: MCP가 없다면 Claude는 그냥 일반적인 코드를 생성할 뿐입니다. 하지만 @context7-mcp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전체를 '읽은'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합니다.
@context7-mcp 우리 프로젝트의 기존 convention에 맞춰서 상품(Product)을 추가하는 API 엔드포인트를 만들어줘.
라고 요청하면, Claude는 src/controllers 폴더 구조, 다른 API들의 에러 처리 방식, 사용 중인 데이터베이스 모델 등을 모두 파악하여 마치 원래 이 팀에 있던 개발자처럼 일관성 있는 코드를 작성해줍니다.
4. mcp-taskmanager
- 핵심 기능: **AI를 위한 '작업 관리자(To-Do 리스트)'**입니다. 매우 큰 목표를 주면,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개의 구체적인 하위 작업으로 나누고, 그 작업들을 순서대로 관리하고 실행하게 만듭니다.
- 사용하면 얻는 효과 (시나리오):
- 문제: "이 오래된 utils.js 파일을 기능별로 5개의 다른 파일로 리팩토링하고, 기존에 이 함수들을 사용하던 모든 파일의 import 경로도 자동으로 수정해줘."
- 효과: 이것은 한 번의 명령으로 하기엔 매우 큰 작업입니다. 하지만 @mcp-taskmanager를 사용하면 Claude가 스스로 해야 할 일을 목록으로 만듭니다.
- [ ] Task 1: Analyze functions in utils.js.
- [ ] Task 2: Create new files: 'dateUtils.js', 'stringUtils.js'...
- [ ] Task 3: Move date-related functions to 'dateUtils.js'.
- [ ] Task 4: Find all files that import from 'utils.js'.
- [ ] Task 5: Update import paths in affected files.
이처럼 AI가 자신의 진행 상황을 관리하며 복잡한 리팩토링을 체계적이고 누락 없이 수행하게 만들어, 개발자의 실수를 줄여줍니다.
5. TalkToFigma
- 핵심 기능: 디자인 툴 'Figma'와 직접 소통하는 도구입니다. Figma에 있는 디자인 컴포넌트를 AI가 '보고' 이해하여 코드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사용하면 얻는 효과 (시나리오):
- 문제: "디자이너가 Figma에 만들어준 이 멋진 '프로필 카드' 디자인을 React 컴포넌트로 만들어야 하는데, CSS 작업이 너무 귀찮아."
- 효과: 이 MCP를 사용하면, 디자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이 거의 자동화됩니다.
@TalkToFigma 이 Figma 링크에 있는 'ProfileCard' 컴포넌트를 Tailwind CSS를 사용한 React 코드로 만들어줘.
라고 요청하면, Claude가 Figma의 디자인(색상, 폰트 크기, 레이아웃, 간격 등)을 분석하여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는 UI 코드를 즉시 생성해줍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혁신적인 기능입니다.
핵심 도구 등록하기: MCP 서버 추가 방법
이제 본격적으로 여러분의 Claude Code에 새로운 능력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아래 명령어들은 Smithery라는 오픈소스 도구를 활용하여 Brave 검색, Perplexity 검색 등의 기능을 연동하는 과정입니다.
PowerShell, zsh, bash 등 사용하시는 터미널을 열고, 아래 6개의 명령어를 한 줄씩 차례대로 복사하여 실행해 주세요.
Generated powershell
# 1. Brave 웹 검색 기능 추가
claude mcp add brave-search -- "npx @smithery/cli@latest run brave-search --config '{}'"
# 2. Perplexity AI 검색 기능 추가
claude mcp add perplexity-mcp -- "npx @smithery/cli@latest run perplexity-mcp --config '{}'"
# 3. 순차적 사고 기능 추가 (복잡한 문제를 단계별로 생각)
claude mcp add sequential-thinking -- "npx @smithery/cli@latest run sequential-thinking --config '{}'"
# 4. 고급 순차적 사고 서버 기능 추가
claude mcp add server-sequential-thinking -- "npx @smithery/cli@latest run server-sequential-thinking --config '{}'"
# 5. Context7 MCP 기능 추가
claude mcp add context7-mcp -- "npx @smithery/cli@latest run context7-mcp --config '{}'"
# 6. MCP 작업 관리자 기능 추가
claude mcp add mcp-taskmanager -- "npx @smithery/cli@latest run mcp-taskmanager --config '{}'"
명령어 분석: 이 코드는 무슨 뜻일까요?
"그냥 복사-붙여넣기만 하면 되나요?" 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우리가 어떤 마법을 부리고 있는지 이해하면 더욱 재미있습니다. brave-search 명령어를 예로 들어 분해해 보겠습니다.
claude mcp add brave-search -- "npx @smithery/cli@latest run brave-search --config '{}'"
- claude mcp add: Claude에게 새로운 MCP 서버를 추가하겠다는 기본 명령어입니다.
- brave-search: 우리가 이 기능을 부를 때 사용할 이름(별명)입니다. 나중에 @brave-search라고 호출하게 됩니다.
- --: "여기까지가 Claude를 위한 옵션이고, 이 뒤부터는 전부 실행할 외부 명령어 덩어리야"라고 알려주는 중요한 구분선입니다.
- "...": 이 큰따옴표 안의 내용이 실제로 실행될 명령어입니다.
- npx @smithery/cli@latest ...: npx는 패키지를 임시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도구입니다. 즉, @smithery/cli라는 도구를 우리 컴퓨터에 영구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run brave-search라는 명령을 실행하게 해줍니다.
결국 이 한 줄의 명령은 "앞으로 @brave-search라고 부르면, Smithery 도구를 이용해서 Brave 웹 검색을 실행하고 결과를 가져와!" 라고 Claude에게 알려주는 것과 같습니다.
실전 활용법
모든 등록을 마쳤다면, 이제 새로운 능력을 사용해 볼 시간입니다. Claude Code와 대화 중에 아래와 같이 @ 기호를 사용하여 등록한 도구를 호출해 보세요.
@brave-search Next.js 15의 가장 큰 변화점은 뭐야?
@perplexity-mcp React Server Components와 Client Components의 차이점을 심층적으로 설명해줘.
이제 Claude는 단순히 기억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웹을 탐색하고 가장 정확하며 최신의 정보를 바탕으로 여러분의 질문에 답변할 것입니다.
마치며
MCP 서버 연동은 Claude Code의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핵심적인 단계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6가지 도구는 시작에 불과합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셨다면 여러분이 직접 만든 스크립트나 다른 유용한 외부 도구들도 얼마든지 Claude의 손과 발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여러분의 터미널을 열어, 진정한 AI 개발 파트너를 만들어보세요
'기술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ude Code Usage Monitor: 실시간 토큰 사용량 모니터링 완전 가이드 (2) | 2025.08.01 |
---|---|
n8n으로 구글 시트 데이터 가져오기: 완전 초보도 따라 하는 연결 설정 가이드 (5) | 2025.06.04 |
Synology NAS와 Web Station으로 n8n 초간단 셀프 호스팅 구축하기 (4) | 2025.06.04 |